《렌트》는 1996년 초연된 조너선 라슨의 록 뮤지컬이다. 1990년대 초 뉴욕 이스트 빌리지를 배경으로, 가난한 예술가들의 삶과 사랑, 그리고 에이즈(HIV)라는 질병을 겪는 모습을 그린다. 1막은 크리스마스 이브를 시작으로 등장인물들의 갈등과 사랑을 보여주며, 2막에서는 새해를 맞이하여 관계의 변화와 죽음을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마크, 음악가 로저, 스트리퍼 미미, 아나키스트 교수 톰, 드랙 퀸 엔젤, 퍼포먼스 아티스트 모린, 변호사 조앤, 건물주 베니 등이 있다. 이 뮤지컬은 푸치니의 오페라 《라 보엠》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과 여러 토니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동명의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96년 뮤지컬 - 에브리원 세즈 아이 러브 유 우디 앨런 감독의 1996년 뮤지컬 코미디 영화 《에브리원 세즈 아이 러브 유》는 뉴욕 상류층 가족의 사랑과 갈등을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화려한 출연진과 뮤지컬적인 요소, 유쾌한 상황 설정을 통해 오해와 화해를 그려내며 골든 글로브상 후보에 올랐다.
20세기를 배경으로 한 희곡 -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는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19년 후를 배경으로, 해리 포터의 아들 알버스 세베루스 포터와 드레이코 말포이의 아들 스콜피어스 말포이의 우정을 중심으로 시간 여행을 통해 과거를 바꾸려는 시도와 그 결과를 다루는 2막 연극이다.
20세기를 배경으로 한 희곡 - 미스 사이공 뮤지컬 《미스 사이공》은 《나비 부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베트남 전쟁을 배경으로 미군 병사와 베트남 여성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작품으로, 전쟁의 비극성과 개인의 희생을 대비시켜 보여주지만, 아시아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시각과 인종차별적 묘사로 논란이 되고 있다.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 토니상 뮤지컬 작품상 토니상 뮤지컬 대본상 토니상 뮤지컬 오리지널 스코어상 드라마 데스크상
주요 프로덕션
1993 워크숍 1996 오프브로드웨이 1996 브로드웨이 1996 엔젤 투어 1997 베니 투어 1997 콜린스 투어 1998 웨스트엔드 2001 영국 투어 2001 웨스트엔드 2005 국제 투어 2007 웨스트엔드 2009 마크 투어 2016 영국 투어 2016 20주년 미국 투어 2021 25주년 미국 투어 2024 오스트레일리아 투어 2024 아르헨티나 1998 도쿄 1999 멕시코시티 2008 부에노스아이레스 2010 뉴질랜드 2010 할리우드 볼 2010 리마 2018 도쿄
1막에서는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 모여 사는 젊은 예술가들의 만남과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들은 꿈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한다.[104] 주요 등장인물로는 마크, 로저, 미미, 모린, 조앤, 엔젤, 콜린스, 베니 등이 있다.
2막에서는 에이즈와 마약 중독, 이별과 죽음 등 무거운 주제를 다룬다. 하지만 그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과 희망, 연대의 메시지를 전달한다.[104] 특히 엔젤의 죽음과 장례식은 슬픔 속에서도 서로를 지지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2. 1. 1막
1991년 12월 24일, 뉴욕 이스트 빌리지. 영상 작가를 자칭하는 '''마크'''는 전직 록 뮤지션인 '''로저'''와 폐건물 방 한 칸에서 함께 살고 있다. 마크는 연인이었던 '''모린'''에게 최근에 차였으며, 그녀의 새로운 연인은 엘리트 여성 변호사 '''조앤'''이다.[104]
전 룸메이트이자 지금은 건물의 주인인 '''베니'''에게서 밀린 집세를 내라는 요구를 받고, 그렇지 않으면 퇴거하라는 통보를 받는다. 베니가 약속을 뒤엎자 두 사람은 집세를 내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한편, 또 다른 전 룸메이트인 '''콜린스'''는 폭한에게 습격당하던 중 '''엔젤'''이라고 자칭하는 청년에게 도움을 받는다. 두 사람은 서로가 HIV 양성 반응임을 알게 되고, 엔젤은 콜린스를 저녁 식사에 초대한다.
마크는 모린에게서 호출받아 로저에게 약을 제대로 챙겨 먹으라고 말하고 나선다. 로저는 과거 연인 에이프릴을 HIV를 원인으로 잃었고, 자신도 HIV 양성 반응이었다. 그는 방에 틀어박혀 죽기 전에 "단 한 곡"을 만들려고 애쓴다.
그때 미미라는 여성이 찾아와 마크로 착각하고 문을 연 로저에게 촛불에 불을 붙여달라고 부탁한다. 로저는 그녀가 마약 중독자임을 간파하고 촛불을 켜주지 않고 마약 봉투를 빼앗으려 하지만 결국 미미에게 도로 빼앗긴다.
마크가 많은 식료품과 생필품을 사 가지고 돌아오고, 함께 온 콜린스가 후원자라고 엔젤을 소개한다. 엔젤은 드래그 퀸이었다.
베니가 집세를 받으러 오지만, 오늘 밤 모린의 공연을 막아주면 집세 없이 부지에 새로 건설할 사이버 스튜디오에 살게 해주겠다고 말하고 떠난다.
마크는 콜린스, 엔젤과 함께 라이프 서포트 모임에 참석한다. 한편 초대를 거절한 로저는, 라이프 서포트 참석자 중 한 명과 같이 "사실 3년 전에 죽었어야 했다"는 생각을 혼자 방에서 한다.
그때 갑자기 나타난 미미에게 로저는 유혹당하지만, HIV 양성 반응이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절당한다. 로저는 그러나 이대로 존엄성을 잃고 살아가야 하는지 자문하고, 미미를 쫓아 방을 나선다.
거리에 넘쳐나는 노숙자 한 명을 도운 마크는 오히려 욕을 먹는다. 콜린스와 엔젤에게 격려를 받고, 조금 기운을 차린 마크를 배웅하고, 둘만 남은 콜린스와 엔젤은 서로 사랑에 빠졌음을 확인한다.
조앤은 여러 통화에 시달린다. 거리에서는 노숙자들이 크리스마스 따위는 상관없다고 한탄한다. 엔젤과 콜린스는 길거리 옷 가게에서 새 코트를 찾는다. 마크는 로저와 길에서 만나고, 미미는 약장수에게서 로저를 떼어내 저녁 식사에 초대한다. 베니는 아내 앨리슨에게 공연을 막지 못한 것을 전화로 한탄하지만, 오늘 밤 사이버 스튜디오의 출자자인 앨리슨의 아버지가 온다는 사실을 알고 당황한다.
각자의 생각이 교차하는 가운데, 눈이 내리기 시작하고, 모린의 공연이 시작되려 한다.
모린의 공연 후, 그들은 라이프 카페에서 저녁 식사를 즐기지만, 그곳에 있던 베니와 대립한다.
베니를 내쫓은 후, 항 HIV 약(AZT)을 복용할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이 울린다. 알람 중 하나는 미미의 것이었다. 로저와 미미는 서로가 HIV 양성 반응임을 확인하고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며 둘이서 가게를 나선다.
조앤이 베니가 빈터를 봉쇄하고 노숙자들이 이에 항의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온다. 남은 멤버들은 다시 소동을 벌이고, 한편 밖에서는 로저와 미미가 키스를 나눈다.
2. 2. 2막
대망의 섣달 그믐날, 마크 일행은 봉쇄된 폐건물에 다시 들어간다. 로저와 미미, 콜린스와 엔젤은 각각 사랑을 확인하고, 크리스마스 이브에 싸움을 했던 모린과 조앤은 화해한다.[104] 침입하려는 방 안에서는, 새해 인사를 전하는 마크의 어머니와, 마크가 보낸 크리스마스 이브의 폭동 영상을 본, 일거리를 주겠다는 TV 프로그램 프로듀서의 부재중 전화가 녹음되어 있다. 마크 일행은 열쇠를 부수고, 새해를 맞이함과 동시에 방에 침입하는 데 성공하지만, 베니도 나타난다. 베니는 미미와 예전에 사귀었던 것을 암시하며, 로저의 감정을 건드린다. 일행은 베니를 쫓아내고, 기분이 상한 로저와 미미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데에도 성공하지만, 미미는 로저와 방으로 돌아가기 전에 약장수를 만난다. 그녀는 마약 중독을 아직 극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숨기고 있었다.
발렌타인데이, 로저는 미미와 함께 살고 있지만, 베니에게 질투를 느껴 도시를 떠날 생각을 하기 시작한다. 모린과 조앤은 싸움만 하고, 결국 결별한다. 엔젤의 건강은 악화되고, 콜린스는 병원에서 헌신한다. 로저는 늦게 돌아온 미미를 나무라고, 윗층으로 돌아가 버린다. 하지만, 미미도 로저도, 서로가 없으면 자신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감정을 토로하고, 로저는 미미의 방으로 돌아간다.
여름의 끝. 부재중 전화에 프로듀서로부터 다시 메시지가 녹음된다. 로저와 미미, 그리고 한때 화해했던 모린과 조앤 사이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균열이 생겨, 다투고 헤어진다. 그런 가운데 맞이한 할로윈에, 마크는 콜린스로부터 엔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엔젤의 장례식이 거행되고, 모두는 엔젤의 추억을 이야기한다. 마크는 프로듀서에게 일감을 받겠다고 전화하고, 그리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자신은 왜 방관자인지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부터의 일을 되돌아본다. 로저는 산타페에 갈 생각이라고 말하고, 그것을 계기로 모두가 말다툼을 시작한다. 최종적으로 마크와 로저, 두 사람의 말다툼이 되지만, 마크가 로저는 쇠약해져 가는 미미로부터 도망치려 한다고 지적하는 것을 들은 미미는 로저에게 이별을 고하고 행방을 감추고, 로저도 뉴욕을 떠난다.
얼마 후, 마크는 가십을 다루는 뉴스 프로그램에 관여하고 있었다. 현실에 타협하라고 스스로에게 말하지만 점점 참을 수 없어진다. 한편, 로저도 울적한 나날을 보낸다. 마크는 결국 방송국 일을 그만두고, 로저도 뉴욕으로 돌아온다.
다시 크리스마스 이브가 찾아온다. 마크와 로저는 1년 전과 같은 방에 있었다. 미미와의 관계가 발각된 베니는 앨리슨에게 책망받아 건물의 소유권을 잃었던 것이다. 콜린스가 나타나, 엔젤이 남긴 돈을 찾았다며 두 사람에게도 나누어 준다. 콜린스는 산타페에 가서 레스토랑을 열려고 작년 크리스마스 이브와 똑같은 이야기를 하지만, 로저는 결국 뉴욕이 그리워진다며 웃는다. 행방불명되었던 미미가 갑자기 발견되지만, 노숙 생활의 영향으로 지금 당장이라도 목숨이 끊어지려고 하고 있었다. 로저는 드디어 곡이 완성되었다며 미미에게 바치는 곡을 부른다. 듣고 있던 미미는 숨이 끊어진 듯 보였지만, 갑자기 숨을 쉬고, 엔젤을 만났고, 돌아와서 로저의 노래를 들으라고 했다고 말한다. 그녀의 건강도 회복되었고, 일동은 기쁨과 함께 "미래도 과거도 없어, 지금을 살아갈 뿐"이라고 노래하며 막이 내려간다.
3. 등장인물
렌트는 뉴욕 이스트빌리지에 모여 사는 가난한 젊은 예술가들의 꿈과 열정, 삶에 대한 희망을 그린 작품이다. 에이즈, 동성애, 마약 중독 등 파격적인 소재와 록, 탱고, 가스펠 등 다양한 음악 장르가 특징이다.[104]
등장인물들은 1991년 12월 24일, 뉴욕 이스트 빌리지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주요 등장인물 외에 다음과 같은 부 등장인물들이 극의 흐름을 돕는다.
이들은 모두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 거주하며, 가난, HIV, 마약 중독 등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사랑과 우정을 나누며 살아간다.
3. 1. 1. 마크 코헨
영상 작가를 꿈꾸는 이성애자 청년으로, 극의 내레이터 역할을 맡아 친구들과 함께 보낸 1년을 영상으로 기록한다. 전 여자친구 모린을 조앤에게 빼앗겼다. 유대계 미국인이다.[22]
3. 1. 2. 로저 데이비스
마크의 룸메이트이자 전직 록 뮤지션이다. 한때 인기 록 밴드의 리드 보컬이었지만, 과거 연인의 죽음 이후 은둔 생활을 하며, 죽기 전에 단 하나의 명곡을 쓰고자 한다. 아래층에 사는 미미에게 마음을 품게 된다. WASP계 이성애자이며, HIV 양성이다.[22]
1991년 12월 24일,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서 영상 작가를 자칭하는 마크와 폐건물 방 한 칸에서 함께 살고 있다. 과거 연인 에이프릴을 HIV를 원인으로 잃었고, 자신도 HIV 양성 반응이었다. 방에 틀어박혀 죽기 전에 "단 한 곡"을 만들려고 애쓴다.[22]
그때 미미라는 여성이 찾아와 마크로 착각하고 문을 연 로저에게 촛불에 불을 붙여달라고 부탁한다. 로저는 그녀가 마약 중독자임을 간파하고 촛불을 켜주지 않고 마약 봉투를 빼앗으려 하지만 결국 미미에게 도로 빼앗긴다.[22]
갑자기 나타난 미미에게 유혹당하지만, HIV 양성 반응이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절당한다. 로저는 이대로 존엄성을 잃고 살아가야 하는지 자문하고, 미미를 쫓아 방을 나선다.[22]
로저와 미미는 서로가 HIV 양성 반응임을 확인하고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며 둘이서 가게를 나선다.[22]
발렌타인데이, 로저는 미미와 함께 살고 있지만, 베니에게 질투를 느껴 도시를 떠날 생각을 하기 시작한다. 늦게 돌아온 미미를 나무라고, 윗층으로 돌아가 버린다. 하지만, 미미도 로저도, 서로가 없으면 자신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감정을 토로하고, 로저는 미미의 방으로 돌아간다.[22]
로저는 산타페에 갈 생각이라고 말하고, 그것을 계기로 모두가 말다툼을 시작한다. 최종적으로 마크와 로저, 두 사람의 말다툼이 되지만, 마크가 로저는 쇠약해져 가는 미미로부터 도망치려 한다고 지적하는 것을 들은 미미는 로저에게 이별을 고하고 행방을 감추고, 로저도 뉴욕을 떠난다.[22]
얼마 후, 로저는 울적한 나날을 보낸다. 이후 뉴욕으로 돌아온다.[22]
행방불명되었던 미미가 갑자기 발견되지만, 노숙 생활의 영향으로 지금 당장이라도 목숨이 끊어지려고 하고 있었다. 로저는 드디어 곡이 완성되었다며 미미에게 바치는 곡을 부른다. 듣고 있던 미미는 숨이 끊어진 듯 보였지만, 갑자기 숨을 쉬고, 엔젤을 만났고, 돌아와서 로저의 노래를 들으라고 했다고 말한다.[22]
3. 1. 3. 미미 마르케스
라틴 아메리카계 스트리퍼이자 마약 중독자이다. 마크와 로저의 아래층에 살며, 로저의 사랑의 대상이며, 그와 마찬가지로 HIV 양성이다.[22] 로저와 사랑에 빠지지만 마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소한 오해로 인해, 친구들에게는 "적"인 베니에게로 향한다. 그리고, 노숙자로 전락한다.[22] 히스패닉계, 스트레이트, HIV 양성이다.[22]
1991년 12월 24일, 뉴욕 이스트 빌리지. 미미라는 여성이 찾아와 마크로 착각하고 문을 연 로저에게 촛불에 불을 붙여달라고 부탁한다. 로저는 그녀가 마약 중독자임을 간파하고 촛불을 켜주지 않고 마약 봉투를 빼앗으려 하지만 결국 미미에게 도로 빼앗긴다.
로저는, 라이프 서포트 참석자 중 한 명과 같이 "사실 3년 전에 죽었어야 했다"는 생각을 혼자 방에서 한다. 그때 갑자기 나타난 미미에게 로저는 유혹당하지만, HIV 양성 반응이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고 거절당한다. 로저는 그러나 이대로 존엄성을 잃고 살아가야 하는지 자문하고, 미미를 쫓아 방을 나선다.
마크는 로저와 길에서 만나고, 미미는 약장수에게서 로저를 떼어내 저녁 식사에 초대한다.
모린의 공연 후, 그들은 라이프 카페에서 저녁 식사를 즐기지만, 그곳에 있던 베니와 대립한다. 베니를 내쫓은 후, 항 HIV 약(AZT)을 복용할 시간임을 알리는 알람이 울린다. 알람 중 하나는 미미의 것이었다. 로저와 미미는 서로가 HIV 양성 반응임을 확인하고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며 둘이서 가게를 나선다.
섣달 그믐날, 로저와 미미는 각각 사랑을 확인한다. 침입하려는 방 안에서는, 새해 인사를 전하는 마크의 어머니와, 마크가 보낸 크리스마스 이브의 폭동 영상을 본, 일거리를 주겠다는 TV 프로그램 프로듀서의 부재중 전화가 녹음되어 있다. 마크 일행은 열쇠를 부수고, 새해를 맞이함과 동시에 방에 침입하는 데 성공하지만, 거기에 베니도 나타난다. 베니는 미미와 예전에 사귀었던 것을 암시하며, 로저의 감정을 건드린다. 일행은 베니를 쫓아내고, 기분이 상한 로저와 미미의 관계를 회복시키는 데에도 성공하지만, 미미는 로저와 방으로 돌아가기 전에 약장수를 만난다. 그녀는 마약 중독을 아직 극복하지 못했다는 것을 숨기고 있었다.
발렌타인데이, 로저는 미미와 함께 살고 있지만, 베니에게 질투를 느껴 도시를 떠날 생각을 하기 시작한다. 로저는 늦게 돌아온 미미를 나무라고, 윗층으로 돌아가 버린다. 하지만, 미미도 로저도, 서로가 없으면 자신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감정을 토로하고, 로저는 미미의 방으로 돌아간다.
여름이 끝날 무렵 로저와 미미 사이에는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균열이 생겨 다투고 헤어진다. 그런 가운데 맞이한 할로윈에, 마크는 콜린스로부터 엔젤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는다.
로저는 산타페에 갈 생각이라고 말하고, 그것을 계기로 모두가 말다툼을 시작한다. 마크가 로저는 쇠약해져 가는 미미로부터 도망치려 한다고 지적하는 것을 들은 미미는 로저에게 이별을 고하고 행방을 감추고, 로저도 뉴욕을 떠난다.
다시 크리스마스 이브가 찾아온다. 행방불명되었던 미미가 갑자기 발견되지만, 노숙 생활의 영향으로 지금 당장이라도 목숨이 끊어지려고 하고 있었다. 로저는 드디어 곡이 완성되었다며 미미에게 바치는 곡을 부른다. 듣고 있던 미미는 숨이 끊어진 듯 보였지만, 갑자기 숨을 쉬고, 엔젤을 만났고, 돌아와서 로저의 노래를 들으라고 했다고 말한다. 그녀의 건강도 회복되었고, 일동은 기쁨과 함께 "미래도 과거도 없어, 지금을 살아갈 뿐"이라고 노래하며 막이 내려진다.
3. 1. 4. 톰 콜린스
톰 콜린스(Tom Collins영어)는 뉴욕 대학교의 철학 강사이자 해커이다. 마크와 로저의 전 룸메이트였다. 아프리카계 게이이며, HIV 양성이다. 길거리에서 강도를 당해 쓰러져 있다가 드래그 퀸이자 길거리 드러머인 엔젤을 만나 서로 사랑에 빠진다. 엔젤이 죽은 후, 장례식에서 친구들이 다투자 그들을 꾸짖기도 한다.
3. 1. 5. 엔젤 듀모트 슈나드
히스패닉계 게이이자 드래그 퀸이며, 거리의 드러머이다. 밝고 상냥한 성격으로, HIV 양성임을 알고 콜린스와 사랑에 빠진다.[22]
3. 1. 6. 모린 존슨
언더그라운드 퍼포먼스 아티스트이다. 과거 마크, 로저, 콜린스, 베니와 함께 살았다. 마크의 전 연인으로, 마크를 떠나 조앤과 연인이 된다. WASP계 양성애자이다.
"Tune Up", "Voice Mail" 등 짧은 곡들은 극의 흐름을 연결하고 등장인물들의 상황을 보여준다. 특히, "Seasons of Love"는 《렌트》를 대표하는 곡으로, 1년이라는 시간을 사랑으로 잰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4. 1. 1막
튠 업 #1
마크, 로저
2
Voice Mail #1 보이스 메일 #1
마크의 어머니
3
Tune Up #2 튠 업 #2
마크, 로저, 콜린, 베니
4
☆
2
Rent 렌트
마크, 로저, 조앤, 콜린, 베니
5
You Okay Honey? 유 오케이 허니?
콜린, 엔젤
6
Tune Up #3 튠 업 #3
마크, 로저
7
☆
4
One Song Glory 원 송 글로리
로저
8
☆
5
Light My Candle 라이트 마이 캔들
로저, 미미
9
Voice Mail #2 보이스 메일 #2
조앤의 어머니
10
☆
6
Today 4 U 투데이 포 유
엔젤
11
3
You'll See 유 윌 씨
베니, 마크, 로저
12
☆
7
Tango: Maureen 탱고: 모린
조앤, 마크
13
☆
8
Life Support 라이프 서포트
엔젤, 콜린, 마크, 로저, 서포트 그룹 참가자
14
☆
9
Out Tonight 아웃 투나잇
미미
15
☆
10
Another Day 어나더 데이
로저, 미미
16
☆
11
Will I? 윌 아이?
서포트 그룹 참가자
17
On The Street 온 더 스트리트
홈리스, 마크, 콜린, 엔젤
18
☆
12
Santa Fe 산타페
엔젤, 콜린
19
☆
13
I'll Cover You 아일 커버 유
엔젤, 콜린
20
We're Okay 위어 오케이
조앤
21
Christmas Bells 크리스마스 벨스
홈리스, 거리 사람들
22
14
Over The Moon 오버 더 문
모린
23
☆
15
La Vie Boheme 라 비 보엠
전체 출연진
24
☆
16
I Should Tell You 아이 슈드 텔 유
로저, 미미
25
☆
17
La Vie Boheme B 라 비 보엠 B
전체 출연진
1막의 구분은 25번 "La Vie Boheme B"이다.
4. 2. 2막
Seasons Of Love영어
전체 출연진
영화 버전에서는 주요 출연자 8명
27
Happy New Year영어 해피 뉴 이어
마크, 미미, 로저, 모린, 조앤, 콜린, 엔젤
28
Voice Mail #3영어 보이스 메일 #3
마크의 어머니, 달링 부인
29
Happy New Year B영어 해피 뉴 이어 B
모린, 마크, 조앤, 로저, 베니, 미미, 엔젤, 콜린
30
☆
19
Take Me Or Leave Me영어 테이크 미 오어 리브 미
모린, 조앤
31
☆
18
Seasons Of Love B영어 시즌스 오브 러브 B
전체 출연진
영화 버전에서는 주요 출연자 8명
32
☆
20
Without You영어 위드아웃 유
미미, 로저
33
Voice Mail #4영어 보이스 메일 #4
달링 부인
34
Contact영어 컨택트
콜린, 모린, 미미, 엔젤, 로저, 조앤
35
☆
21
I’ll Cover You (Reprise)영어 아일 커버 유 (리프라이즈)
콜린, 조앤
36
Halloween영어 할로윈
마크
영화 편집 단계에서 컷
37
Good Bye Love영어 굿바이 러브
미미, 로저, 베니, 모린, 조앤, 마크, 콜린
38
☆
22
What You Own영어 왓 유 오운
마크, 로저
39
Voice Mail #5영어 보이스 메일 #5
로저의 어머니, 미미의 어머니, 조앤의 아버지, 마크의 어머니
40
23
Finale영어 피날레
홈리스, 마크, 로저, 콜린, 모린, 조앤, 미미
41
24
Your Eyes영어 유어 아이즈
로저
42
☆
25
Finale B영어 피날레 B
전체 출연진
5. 역사
1988년, 극작가 빌리 아론슨은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라 보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5] 이듬해인 1989년, 젊은 작곡가 조나단 라슨이 아론슨과 협력하여 "산타페", "스플래터"(나중에 "렌트"로 재작업됨), "아이 슈드 텔 유" 등의 곡을 함께 작곡했다. 라슨은 그리니치 빌리지 아파트 근처인 맨해튼의 이스트 빌리지를 배경으로, 가난, 노숙, 성 소수자, 드래그 퀸, 펑크 문화 등을 다루자고 제안했다. 또한 작품의 제목을 《렌트》로 정했다.[6]
1991년, 라슨은 아론슨에게 《렌트》를 자신의 작품으로 만들 수 있는지 물었고, 브로드웨이 진출 시 수익 분배와 "원래 구상 및 추가 가사"에 대한 크레딧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합의를 얻었다.[6] 라슨은 "뮤지컬 극장을 MTV 세대에게 가져다줄" 록 오페라를 꿈꿨다.[6]1992년 가을, 뉴욕 극장 워크숍의 예술 감독 제임스 니콜라에게 《렌트》의 테이프와 대본을 보냈고, 1993년 3월 첫 낭독회가 열렸지만 내용이 길고 복잡하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6]1994년 워크숍 버전에는 앤서니 랩 (마크 역)과 다프네 루빈-베가 (미미 역)가 출연했으며, "유 아 어 풀" 등 최종 버전에 포함되지 않은 곡들이 있었다.
1996년1월 24일, 오프 브로드웨이 개막을 앞둔 마지막 드레스 리허설 후, 라슨은 음악 평론가 앤서니 토마시니와 인터뷰를 가졌다. 그러나 다음 날 새벽, 라슨은 마르판 증후군으로 인한 대동맥 박리로 사망했다.[6][8]1월 25일, 뉴욕 극장 워크숍에서 열린 첫 프리뷰는 라슨을 추모하는 싱스루 공연이 되었다.[6][8] 《렌트》는 초연 후 열광적인 반응과 작곡가의 죽음으로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2]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성공을 거두었고, 1996년4월 29일 브로드웨이 41번가의 네덜란더 극장으로 옮겨 공연을 이어갔다.[2]
《렌트》는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라 보엠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9] 《라 보엠》의 결핵은 《렌트》에서 HIV/AIDS로 대체되었고, 1800년대 파리는 1980년대 후반 또는 1990년대 초 뉴욕 이스트 빌리지로 배경이 바뀌었다. 등장인물과 줄거리도 《라 보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라슨의 곡 "Light My Candle"은 "Che gelida manina"의 멜로디를 차용했고,[10] "Quando me'n vo'"("Musetta's Waltz")는 푸치니 오페라의 멜로디를 직접 가져왔다.[11] "Goodbye Love"는 등장인물 간의 갈등과 이별을 다룬 곡이다.[11] "Take Me or Leave Me"의 첫 절은 "Quando me'n vo'"의 영향을 받았다.
《렌트》는 라슨의 자전적인 요소도 담고 있다. 라슨은 뉴욕에서 가난한 예술가로 살면서 겪었던 불안, 희망, 두려움을 작품에 투영했다. 열악한 생활 환경, 여자친구가 레즈비언에게 떠난 경험 등이 반영되었다.[12] 마크 코헨 캐릭터는 라슨의 친구인 촬영 감독 조나단 버크하트와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에디 로젠스타인을 모델로 했다. 극작가 사라 슐만은 《렌트》가 자신의 소설 《People in Trouble》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며 비판하기도 했다.[13][14]
"나는 너보다 더 남자다... 그리고 너가 가질 수 있는 여자보다 더 여자다!"라는 대사는 영화 《마네킨》(1987)과 《마네킨 2: 온 더 무브》(1991)의 캐릭터 할리우드 몬트로즈, 그리고 영화 《카 워시》(1976)의 린디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초기 설정에서는 마크를 제외한 모든 등장인물이 에이즈를 앓았고, 모린은 오이디푸스 대신 헤이 디들 디들을 연기하는 캐릭터였다. 마크는 화가였고, 로저는 랄프라는 이름으로 뮤지컬을 썼으며, 엔젤은 재즈철학자, 콜린스는 거리 공연자였다. 엔젤과 콜린스는 원래 백인으로 묘사되었고, 베니는 비중이 더 컸다.[15]
Life Café
"La Vie Boheme"의 배경인 Life Café는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 실존했던 레스토랑이었다(2013년 폐업).[16][17] 첫 막 마지막의 폭동 장면은 톰킨스 스퀘어 파크 통금 시간으로 인해 발생한 1988년 폭동에서 영감을 받았다.[17] "Will I?"는 에이즈 환자들의 모임인 Life Support에서 불리는 곡으로, 라슨은 Friends in Deed 모임에 참석하여 "죽는 것이 두렵지 않지만, 존엄성을 잃을까 두렵다"라는 한 남성의 발언을 듣고 이 곡을 작곡했다. Life Support 모임에 참석하는 고든, 알리, 팸은 라슨의 사망한 친구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브로드웨이 공연에서는 매일 밤 에이즈로 사망한 출연진 친구들의 이름을 넣어 장면을 연출했다.[18]
5. 1. 기원과 영감
1988년, 극작가 빌리 아론슨은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라 보엠을 현대 뉴욕을 배경으로 재해석하는 뮤지컬을 구상했다.[5]1989년, 작곡가 조나단 라슨이 이 프로젝트에 합류하면서 제목을 《렌트》로 바꾸고, 배경을 맨해튼의 이스트 빌리지로 옮기기로 결정했다.[6] 라슨은 자신의 경험과 친구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에이즈, 마약 중독, 동성애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소재들을 다루었다.[104]
라슨은 1990년대 초, ''렌트'' 작곡에 집중하면서 생계를 위해 문댄스 다이너에서 웨이터로 일했다.[6] 수년에 걸쳐 라슨은 수백 곡을 작곡하고 대본을 수정했으며, 최종 버전에는 42곡이 수록되었다. 1992년 가을, 라슨은 뉴욕 극장 워크숍의 예술 감독 제임스 니콜라에게 ''렌트''의 테이프와 대본을 보냈고, 1993년 3월 뉴욕 극장 워크숍에서 ''렌트''의 첫 번째 공개 낭독회가 열렸다.[6]
초기 《렌트》는 푸치니의 《라 보엠》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록 뮤지션 로저와 영상 작가 마크가 추위에 원고를 태우는 장면, 철학 교수 콜린스가 돌아오고, 드러머 엔젤 드모트 슈나르도가 시끄러운 애완동물을 죽여 돈을 버는 이야기, 로저와 미미가 만나는 장면 등은 《라 보엠》과 거의 동일한 전개였다.
1991년경, 라슨은 《라 보엠》에서 벗어나 당시 이스트 빌리지와 그곳 사람들의 현실을 그리고자 했다. 그는 향후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하면 아론슨에게 수익을 분배한다는 조건으로, 《렌트》를 자신의 단독 기획으로 하는 것에 합의를 얻었다. 이후 《렌트》는 《라 보엠》의 플롯과는 관계없는 라슨의 오리지널 각본이 되었다.
《렌트》의 음악은 "Rent"는 로큰롤, "One Song Glory"는 발라드, "Light My Candle"은 차차, "Today 4 U"는 디스코, "Tango: Maureen"은 탱고, "Out Tonight"는 팝, "Santa Fe"는 R&B, "La Vie Boheme"은 쇼 튠, "Seasons Of Love"는 가스펠, "Without You"는 포크송 등 다양한 스타일로 작곡되었다.[101]
《렌트》의 안무는 등장인물이 자주 테이블 위에 올라가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워크숍 기간 동안 무대 장치가 간소했던 시절의 잔재이다.
조나단 라슨은 고등학교 시절부터 친한 친구가 게이이고 HIV 양성자였으며, 에이즈로 친구들을 잃고, 여자 친구를 레즈비언에게 빼앗기는 등의 경험을 했다. 이러한 라슨의 개인적인 경험과 추억이 《렌트》에 많이 담겨 있다.
라이프 서포트 미팅에 등장하는 아리, 고든, 팜, 수의 이름은 실제로 에이즈로 사망한 라슨의 친구들 이름이다. 라슨은 취재를 위해 이러한 라이프 서포트 미팅에 참여했는데, 한 남성이 "나는 죽는 것이 두렵지 않지만,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잃는 것은 두렵다"라고 발언했고, 이 말이 라슨에게 큰 영향을 주어 "Will I?"를 쓰게 했다.
5. 2. 워크숍과 초연
1993년 3월 뉴욕 극장 워크숍(New York Theatre Workshop)에서 《렌트》의 첫 낭독 공연이 열렸다.[6] 1994년에는 앤서니 랩이 마크 역, 다프네 루빈-베가가 미미 역으로 출연한 워크숍 공연이 진행되었다.[7]
1996년1월 25일, 조나단 라슨은 《렌트》의 오프브로드웨이 초연을 하루 앞두고 대동맥 박리로 사망했다.[6][8]1996년2월 13일,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은 라슨을 기리는 추모 공연으로 진행되었다.
쇼는 계획대로 초연되었고, 작곡가의 죽음과 열광적인 리뷰로 인해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150석 규모의 뉴욕 극장 워크숍에서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오프 브로드웨이 공연에서 매우 성공적이었다.[2]1996년4월 29일, 더 큰 극장이 필요해짐에 따라 브로드웨이 41번가의 네덜란더 극장으로 옮겨져 공연을 시작했다.[2]
오비상 특별상 (『렌트』를 실현시킨 각본 · 작사 · 작곡의 조나단 라슨, 연출의 마이클 그라이프, 그리고 15명의 오리지널 캐스트 멤버의 공적을 현창)
6. 사회적 영향
《렌트》는 에이즈, 동성애, 마약 중독 등 당시 사회에서 금기시되던 주제들을 정면으로 다루면서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104] 이러한 주제들은 1990년대 미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내는 동시에,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렌트》는 젊은 세대의 불안과 고민, 꿈과 열정을 현실적으로 그려내며 큰 공감을 얻었다. 이는 '렌트헤드(Renthead)'라는 열성적인 팬덤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뮤지컬 문화의 저변을 확대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렌트》는 미국에서 여러 차례 전국 투어를 진행했다. 주요 투어는 다음과 같다.
Angel Tour: 1996년 11월 보스턴 슈버트 극장에서 시작, 약 6개월간 공연.[47]앤서니 랩, 다프네 루빈-베가 등 출연. 1999년 9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종료.
Benny Tour: 1997년 7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라호야 플레이하우스에서 시작. 닐 패트릭 해리스가 마크 코헨 역으로 출연. Angel Tour보다 작은 규모의 도시에서 공연.
기타 투어: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매 시즌 투어 진행. 애런 트베이트 등 출연. 2009년에는 아담 파스칼과 앤서니 랩이 브로드웨이 초연 당시 역할을 다시 맡은 전국 투어가 시작되어 2010년 2월 종료.[48] 20주년, 25주년 기념 비에퀴티 투어도 진행됨.
6. 1. 긍정적 평가
Rent영어는 에이즈 환자, 동성애자, 마약 중독자 등 소외된 계층의 삶을 진솔하게 그려내며 사회적 편견에 도전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104] 또한, 젊은 세대의 고민과 갈등, 사랑과 우정을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했다. 록, 팝, 가스펠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하여 뮤지컬의 대중화에도 기여했다.[104]
이 작품은 현대 도시 사회의 다양한 젊은이들의 삶을 다루면서, 소수 민족, 성 소수자, 마약 중독 및 HIV/AIDS 등 기존 주류 뮤지컬에서는 꺼려했던 사람들과 소재를 폭넓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도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6. 2. 비판적 시각
이 뮤지컬은 레즈비언 캐릭터의 부정적 묘사, 이스트 빌리지의 미화 등 일부 비판을 받았다. 린 톰슨과의 저작권 소송 등 논란도 있었다.[62][63][64][65][66][67]
6. 3. 한국 사회에 미칠 영향
'렌트'는 에이즈, 동성애, 마약 중독 등 파격적인 소재를 다루며, 청년 문제, 사회적 불평등, 소수자 인권 등 한국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는 거울 역할을 한다.[104] 이러한 주제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의 삶과 가치를 존중하는 포용적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연대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된다.
7. 각색 및 공연
《렌트》는 미국에서 여러 차례 전국 투어를 진행했다. 1990년대에 시작된 "Angel Tour"와 "Benny Tour"는 성공적인 전국 투어로 평가받는다. 이후 비에퀴티 투어와 캐나다 투어(일명 "Collins Tour")도 진행되었다.
Angel 투어는 1996년 11월 보스턴 슈버트 극장에서 시작하여 약 6개월간 공연되었으며, 앤서니 랩과 다프네 루빈-베가 등이 참여했다.[47] 1999년 9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막을 내린 이 투어에는 캐리 해밀턴, 에이미 스팽거 등도 출연했다.
Benny Tour는 1997년 7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라호야 플레이하우스에서 시작되었으며, 닐 패트릭 해리스가 마크 코헨 역으로 출연했다. 이 투어는 Angel Tour보다 짧은 기간, 작은 규모의 시장에서 공연되는 경우가 많았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매 시즌 투어가 진행되었으며, 애런 트베이트, 콘스탄틴 마룰리스 등이 출연했다. 2009년에는 아담 파스칼과 앤서니 랩이 브로드웨이 초연 당시의 역할을 다시 맡아 출연하는 전국 투어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시작되어 2010년 2월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에서 막을 내렸다.[48]
2016년 9월 12일에는 20주년 기념 비에퀴티 투어가 인디애나주 블루밍턴에서 시작되어[49][50] 2020년 3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51] 2021년 9월 30일에는 25주년 기념 비에퀴티 투어가 켄터키주 파두카의 카슨 센터에서 시작되었다.[52]
또한, 2007년에는 《렌트》의 축약본인 《렌트: School Edition》이 제작되어 미국 내 5개의 비전문 연기 그룹에서 공연되었다. 이 버전은 "Contact" 곡을 삭제하고 일부 거친 언어를 제거하는 등 원작을 각색한 것이다.[68] 위스콘신주 쇼어우드 고등학교는 2006년 5월에 이 각색본의 초기 버전을 공연한 최초의 고등학교였다.[69] 2008년부터 뮤지컬 극단 인터내셔널은 "《렌트》 School Edition"의 공연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있다.
7. 1. 영화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의 영화 《렌트》가 2005년에 개봉되었다.[80] 미미 역의 다프네 루빈-베가(당시 임신 중이었다[74])와 조앤 역의 프레디 워커(역할에 비해 나이가 많다고 생각했다[75])를 제외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대부분이 출연하여 화제를 모았다. 그러나 영화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1997년 이후 영화화 기획이 여러 차례 무산되기를 반복했다. 각본과 배역이 문제였는데, 스파이크 리 감독, 마크 앤서니(로저 역), 저스틴 팀버레이크(마크 역),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미미 역) 캐스팅 기획도 있었다고 한다.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은 조나단 라슨의 스토리와 오리지널 캐스트를 고집하여, 영화판 『렌트』는 무대 초창기 주요 캐스트를 다시 불러 모으는 보기 드문 뮤지컬 영화가 되었다.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은 자신도 "렌트 헤드"이며 "과거에는 이스트 빌리지에서 생활했던 보헤미안 중 한 명이었다"고 밝히며 무대 『렌트』의 세계를 최대한 영화에 재현하려 노력했다.
엔젤 역의 윌슨 저메인 헤레디아는 토니상 뮤지컬 부문 최우수 조연 남우상을 수상했음에도 이후 배우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다. 그는 영화에서 “Today 4 U”의 화려한 스텝과 드럼 스틱 솜씨를 한 번에 완벽하게 해내어 감독을 놀라게 했다. 다만 두 번째 테이크에서 정강이를 다쳐 첫 번째 테이크가 영화에 사용되었다.
조앤 역의 트레이시 톰스는 여러 번 무대 『렌트』 오디션에서 떨어졌지만, "심각한 렌트 헤드였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았다고 한다. 영화에서 호연을 펼친 톰스는 3년 후 브로드웨이 무대에서 같은 역을 연기하게 되었다.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은 무대와 영화에서 감정 이입의 허용량이 다르다는 점이 영화 제작에서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영화에서는 감정적인 곡들이 연속되는 후반부 전개가 과도하게 느껴질 수 있어, 마크가 “Halloween”을 부르는 묘지 씬은 최종 편집에서 삭제되었다. (이 씬은 DVD판에 보너스 씬으로 수록되었다).
7. 2. 브로드웨이 공연
Rent영어는 1996년 4월 29일부터 2008년 9월 7일까지 12년간 5,123회 공연되었다.[45] 이는 당시 브로드웨이에서 일곱 번째로 롱런하는 뮤지컬 기록이었다.[46]
이 뮤지컬은 원래 150석 규모의 뉴욕 극장 워크숍에서 오프 브로드웨이 공연으로 시작하여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2] 압도적인 인기로 인해 더 큰 극장이 필요해져, 1996년 4월 29일 브로드웨이 41번가의 네덜랜더 극장으로 옮겨 공연하게 되었다.[2]
1996년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브로드웨이에서도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입소문을 통해 인기를 얻었다. 원래 캐스트는 테이 딕스, 윌슨 저메인 헤레디아, 제시 L. 마틴, 이디나 멘젤, 아담 파스칼, 앤서니 랩, 대프니 루빈-베가, 프레디 워커 등으로 구성되었다.
논쟁적인 주제와 혁신적인 가격 정책(공연 당일 20달러 티켓)은 젊은 세대 사이에서 뮤지컬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42] 1996년 토니상에서 최우수 뮤지컬, 최우수 극본, 최우수 오리지널 스코어, 뮤지컬 부문 최우수 조연 배우상(헤레디아) 등 4개 부문을 수상했다.[43]
2006년 4월 24일,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는 네덜랜더 극장에서 열린 뮤지컬의 단독 공연을 위해 재회했다. 이 공연은 조나단 라슨 공연 예술 재단, 프렌즈 인 디드, 뉴욕 극장 워크숍을 위해 200만달러 이상을 모금했다.[44]
''렌트''는 2008년 9월 7일에 폐막했으며, 당시 브로드웨이에서 11번째로 롱런하는 쇼였다.[46] 이 작품은 2.8억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4]
오리지널 캐스트 앙상블 멤버 로드니 힉스와 웬 스튜어트는 브로드웨이 폐막 시점에 캐스트로 돌아왔다. 힉스는 베니 역을, 스튜어트는 자신이 창조한 역할인 "Seasons of Love" 노래의 솔리스트 역할을 맡았다. 여배우 트레이시 톰스는 2005년 영화 버전에서 자신이 연기했던 조앤 역을 맡아 런칭 말기에 캐스트에 합류했다.[45] 마지막 브로드웨이 공연은 촬영되어 2008년 9월 ''렌트: 브로드웨이 실황''이라는 제목으로 영화관에서 상영되었고, 2009년 2월 3일에 DVD 및 블루레이 형식으로 출시되었다.
7. 3. 한국 공연
1998년 렌트 프로젝트 재팬 제작으로 한국 초연이 이루어졌다.[70] 연출은 마사 벤타, 안무는 셸리 윌리엄스, 음악 감독은 후카자와 게이코가 담당했다.[71]2008년에는 도호와 씨어터 크리에 제작으로 새로운 캐스트로 구성된 일본판 『렌트』가 상연되었다. 2012년에는 오리지널 연출가인 마이클 그라이프에 의한 신 연출판이 도호 제작으로 씨어터 크리에 및 효고현립예술문화센터 한큐 중홀에서 초연되었으며[83], 이후 2015년, 2017년, 2020년(코로나19 양성자 확인으로 도중 중지[84]), 2023년에 재연되었다.
7. 4. 기타
영국 웨스트엔드, 호주,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버전으로 《렌트》가 공연되었다.[68] 학교 및 비전문 극단을 위한 축약본인 《렌트: 스쿨 에디션》도 제작되었다.[68] 이 버전은 "Contact" 곡을 삭제하고, 일부 거친 표현을 제거했으며, 원작의 일부 애정 표현을 완화했다.[68] 위스콘신주 쇼어우드 고등학교는 2006년 5월에 이 각색본의 초기 버전을 공연한 최초의 고등학교였다.[69] 2008년부터 뮤지컬 극단 인터내셔널은 미국과 전 세계의 학교 및 비전문 아마추어 극단을 위해 "《렌트》 School Edition"의 공연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있다.
8. 논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논란' 섹션이나 극작가 린 톰슨과의 저작권 소송에 대한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8. 1. 린 톰슨 소송
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린 톰슨 소송'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었기 때문에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이는 정확한 답변이며,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Rent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2]
서적
Rent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3]
웹사이트
Longest-Running Shows on Broadway
http://www.playbill.[...]
2020-03-09
[4]
간행물
Time Magazine
2008-03-10
[5]
웹사이트
Musicals
http://www.billyaron[...]
2016-11-07
[6]
뉴스
The Seven-Year Odyssey That Led to ''Rent''
https://query.nytime[...]
1996-03-17
[7]
서적
Without You: A Memoir of Love, Loss, and the Musical Rent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8]
간행물
Rent star tells story of show's first preview, after Jonathan Larson died
http://ew.com/theate[...]
2017-04-11
[9]
서적
Rent ("Leap of Faith")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10]
논문
Transposition in Jonathan Larson's RENT
http://www.intellect[...]
2012
[11]
웹사이트
La Bohème —Libretto in English
http://www.impresari[...]
Kernkonzepte: Impresario
[12]
논문
The World of ''Rent''
1996-05-13
[13]
웹사이트
Stagestruck: Theater, AIDS, and the Marketing of Gay America
https://en.wikipedia[...] [14]
웹사이트
Sarah Schulman: the writer Rent ripped off
http://www.slate.com[...]
Slate.com
2005-11-23
[15]
웹사이트
SiteforRent.com
http://www.siteforre[...]
2007-04-15
[16]
웹사이트
Making Rent; A Spell for Alphabet City
http://www.lifecafen[...]
Life Cafe
[17]
서적
Rent ("Connection")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18]
서적
Rent ("Leap of Faith: Friends in Deed")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19]
웹사이트
147 f3d 195 Thomson v. S Larson
http://openjurist.or[...]
OpenJurist.com
[20]
웹사이트
Rent Dramaturg Suit Dismissed
http://www.playbill.[...]
1997-07-23
[21]
웹사이트
Family of 'Rent' Creator Settles Suit Over Authorship
https://www.nytimes.[...]
1998-09-10
[22]
서적
Rent (''no day but today'')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23]
웹사이트
Casting | Music Theatre International
http://www.mtishows.[...] [24]
논문
"OVER THE MO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Rent by Jonathan Larson
http://earbirding.co[...]
University of Maryland
2007
[25]
뉴스
Where the cast of "Rent" is now
http://www.nydailyne[...] [26]
웹사이트
No Day But Today: The Critical Reception of RENT
https://prezi.com/rk[...] [27]
뉴스
Among the 'Rentheads'
https://www.wsj.com/[...]
2008-06-13
[28]
뉴스
Time for 'Rent'
The Philadelphia Gay News
1998-08-14
[29]
논문
Every Day a 'Rent' Party: hardcore fans of the hit musical form a squatters camp at the box office
1997-03-03
[30]
웹사이트
Team America: World Police' Movie Review
http://movies.about.[...]
2006-07-21
[31]
웹사이트
The Pussycats' "Out Tonight" Cover On 'Riverdale' Is A Sneakily Fitting Soundtrack To A Majorly Feminist Moment
https://www.bustle.c[...]
2017-11-09
[32]
웹사이트
Randy Rainbow's Musical Sendoff To Donald Trump
https://www.newsandg[...]
2021-01-19
[33]
간행물
Randy Rainbow Trolls 'Conspiracy Theorist' Anti-Vaxxers in 'Rent' Song Parody: Watch
https://www.billboar[...]
2022-02-07
[34]
웹사이트
Hedwig and the Angry Inch
http://www.reelingre[...] [35]
웹사이트
Forbidden Broadway, Gerard Alessandrini - Forbidden Broadway Strikes Back!: Another Unoriginal Cast Recording, Volume 4 (1996 New York Cast)
https://www.amazon.c[...] [36]
웹사이트
"Lin-Manuel Miranda and Leslie Odom, Jr. Reveal How ''Rent'' Shaped History and ''Hamilton''"
http://www.playbill.[...]
2015-02-11
[37]
서적
Rent ("The Libretto")
HarperEntertainment / HarperCollins
[38]
웹사이트
"RENT RETURNS – July 14th – New World Stages – Buy tickets NOW!"
http://siteforrent.c[...]
2011-06-09
[39]
웹사이트
Ensemble Cast to Bring RENT 20th Anniversary Tour to the Fabulous Fox
http://www.broadwayw[...]
2017-04-03
[40]
뉴스
"Rock Opera A la 'Boheme' And 'Hair'"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6-02-14
[41]
뉴스
The Birth of a Theatrical Comet
https://select.nytim[...]
1996-03-17
[42]
간행물
Looking on Broadway For Ramshackle Home
https://select.nytim[...]
1996-02-26
[43]
웹사이트
Past Winners Search
http://www.tonyaward[...]
IBM Corp., Tony Award Productions
[44]
웹사이트
"''Rent''#REDIRECT \n\n{{Redirect category shell|\n{{R from move}}\n}}s 10th Anniversary Celebration Will Reunite Past Bohemians, for Three Good Causes"
http://www.playbill.[...]
Playbill, Inc.
2006-03-30
[45]
뉴스
"'Rent' brings down the curtain on Broadway run."
http://usatoday30.us[...]
Associated Press
2008-09-07
[46]
웹사이트
Long Runs on Broadway
http://www.playbill.[...]
Playbill, Inc.
2008-05-28
[47]
웹사이트
Boston RENT:Extension, Convention, Improved Aural Dimension
https://playbill.com[...]
1996-12-16
[48]
뉴스
"C'est La Vie: Rent Tour, With Pascal, Rapp and Stewart, Shutters Feb. 7"
http://www.playbill.[...]
playbill.com
2010-02-07
[49]
웹사이트
Dates and Cities Announced for Rent's 20th Anniversary Tour. {{!}} Playbill
http://www.playbill.[...] [50]
웹사이트
How Will the Rent Tour Be Different From What You Know?
http://www.playbill.[...]
2016-09-11
[51]
웹사이트
Current and Upcoming National Tours
http://www.playbill.[...]
2019-05-13
[52]
웹사이트
"Let's get this show on the road: Rent comes to Paducah"
https://www.wpsdloca[...]
2021-09-24
[53]
웹사이트
"Jessie Wallace joins cast of ''RENT''"
http://www.indielond[...]
IndieLondon
2007
[54]
뉴스
Theatre review: Rent / Duke of York Theatre, London
https://www.theguard[...]
2007-10-16
[55]
웹사이트
New London Production of Rent to Close in February 2008
http://www.playbill.[...] [56]
뉴스
New production of Rent to tour UK
http://www.whatsonst[...] [57]
뉴스
Reviewed by LewisLoves: Rent The Musical at the Malvern Theatre
http://lewisloves.co[...]
2017-03-26
[58]
뉴스
First look at RENT at the World's Oldest Papermill
https://www.broadway[...]
2018-07-10
[59]
웹사이트
"Rent musical revival at Hope Mill Theatre rescheduled {{!}} WhatsOnStage"
https://www.whatsons[...]
2020-05-25
[60]
웹사이트
"Rent musical revival at Hope Mill Theatre to go ahead next month with socially distanced audiences {{!}} WhatsOnStage"
https://www.whatsons[...]
2020-09-15
[61]
웹사이트
Hope Mill Theatre to Stream Its Production of Rent This Fall
http://www.playbill.[...]
2020-10-06
[62]
뉴스
"'Rent' Revival at New World Stages – Review"
http://theater.nytim[...]
2011-08-11
[63]
웹사이트
Off-Broadway's Rent Closes Sept. 9
http://www.playbill.[...] [64]
웹사이트
Cast/Creatives
https://rentmusical.[...] [65]
웹사이트
"Rent" gör jätteturné
https://www.aftonbla[...]
2001-12-06
[66]
웹사이트
Pussycat Doll Nicole Scherzinger to Tango as Maureen in Hollywood Bowl Rent
http://www.broadway.[...] [67]
웹사이트
Rent produced by Hilbert Productions GmbH Berlin
http://www.hilbert-p[...] [68]
뉴스
With 'Rent,' local theater finally fulfills promise
http://www.tcpalm.co[...]
Scripps Treasure Coast Newspapers
2007-06-30
[69]
뉴스
Students Tackle Tough Topics of 'Rent'
https://news.google.[...]
2006-05-19
[70]
웹사이트
Rent
https://www.amazon.c[...] [71]
웹사이트
"The Best of Rent: Highlights From The Original Cast Album"
https://www.amazon.c[...]
Dreamworks
1999-09-07
[72]
웹사이트
Jonathan Larson, Rosario Dawson, Wilson Jermaine Heredia, Taye Diggs, Idina Menzel, Adam Pascal, Jesse L. Martin, Anthony Rapp, Tracie Thoms – Rent (2005 Movie Soundtrack)
https://www.amazon.c[...]
2015-11-23
[73]
웹사이트
Rent
http://castalbumcoll[...]
2015-11-23
[74]
간행물
"DIVA TALK: Chatting with ''Les Miz''#REDIRECT"
https://www.playbill[...]
2012-10-13
[75]
뉴스
Nine Years in the Life
https://www.nytimes.[...]
2005-09-04
[76]
웹사이트
Amazon.com product listing
https://www.amazon.c[...]
2009-02-03
[77]
웹사이트
No Day But Today: The Story of Rent
https://mubi.com/fil[...]
2020-07-08
[78]
웹사이트
Amazon entry for Rent (Widescreen Two-Disc Special Edition)
https://www.amazon.c[...]
2006-02-21
[79]
웹사이트
Revolution Rent
https://www.docnyc.n[...]
2020-07-08
[80]
웹사이트
Rent (2005)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2-13
[81]
웹사이트
New York Theatre Workshop
http://www.nytw.org/ [82]
웹사이트
シアタークリエ『レント』ロジャー役のAnisが休演 10月23日昼公演は中止に
https://web.archive.[...]
2010-10-21
[83]
뉴스
2012/08/22 ミュージカル「RENT」制作発表レポ
https://okepi.net/ka[...]
2012-08-22
[84]
웹사이트
ミュージカル「RENT」全公演中止に](ステージナタリー、2020年11月24日)
https://natalie.mu/s[...] [85]
웹사이트
2012年「RENT」全キャスト発表
http://community.pia[...]
2024-09-01
[86]
웹사이트
『RENT』2015製作発表レポート~歌唱披露フォトギャラリー~
https://okepi.net/ka[...]
2024-09-01
[87]
뉴스
2017年版「RENT」村井良大、堂珍嘉邦、超新星ユナクら続投
https://natalie.mu/s[...]
2016-12-08
[88]
웹사이트
シアタークリエ ミュージカル『RENT』
https://www.tohostag[...]
シアタークリエ
2020-09-16
[89]
웹사이트
シアタークリエ ミュージカル『RENT』
https://www.tohostag[...]
シアタークリエ
2024-08-30
[90]
문서
2010年10月21日〜11月14日まで休演
[91]
문서
2010年10月26日〜11月14日まで[[Anis]]公演分を代役
[92]
웹사이트
2020年版「RENT」全キャスト発表、花村想太・平間壮一・甲斐翔真・ユナクら
https://natalie.mu/s[...]
2020-03-11
[93]
웹사이트
2020年版「RENT」ビジュアル解禁、追加キャストに堂珍嘉邦と奈良木浚赫
https://natalie.mu/s[...]
2020-09-01
[94]
웹사이트
"「RENT」よりユナクが降板、ロジャー役は堂珍嘉邦・甲斐翔真が担当"
https://natalie.mu/s[...]
2020-09-16
[95]
문서
1999年版は「TSUKASA」名義で出演
[96]
문서
2010年版は「白川裕二郎」名義で出演
[97]
웹사이트
シアタークリエ ミュージカル『RENT』(2020年版)INFORMATION
https://www.tohostag[...] [98]
문서
日本公演では、「Joanne」を「ジョアンヌ」としている。
[99]
문서
2023年版は「佐竹莉奈」名義で出演
[100]
문서
スウィングとしての出演。
[101]
문서
通常ミュージカルは作詞家と作曲家、または脚本家・作詞家・作曲家の共同作業で骨格が創作され、その後、編曲を担当する音楽監督、振付けを担当する振付家、演出を行なう監督などがこれに肉付けしてゆく。
[102]
문서
“Joanne” は「ジョアン」、“Joan” は「ジョーン」、共に英語で女性の名前)。
[103]
문서
“Jermaine” はあの[[ジャーメイン・ジャクソン]]のジャーメインと同じ)。
[104]
뉴스
‘뮤지컬 티켓 파워’역시 조승우!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006-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